본문 바로가기
생활, 상업 활동 규제

유튜브 수익 발생 시 세금 신고 기준은?

by 망고링고- 2025. 8. 20.

 

유튜브 수익 발생 시 세금 신고 기준은?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를 취미로 시작하지만, 어느 순간 광고 수익이나 협찬 수익이 발생하면 “세금을 신고해야 할까?”라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유튜브 수익은 단순한 용돈 개념이 아니라 법적으로 과세 대상이기 때문에 신고를 하지 않으면 추후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국세청은 유튜브·틱톡·인스타그램 등 크리에이터 수익을 집중 관리하고 있어, 세법 이해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유튜브 수익 세금 신고 의무와 기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유튜브 수익 세금 신고 기준 요약

구분 규정 내용 위반시 제재 근거 법령
소득 구분 유튜브 수익은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으로 분류 미신고 시 소득세 추징 소득세법 제19조, 제21조
수익 기준 연 100만 원 초과 시 과세 신고 의무 미신고 시 가산세 부과 소득세법 제70조
부가가치세 연 매출 8,000만 원 이상 시 부가세 신고 대상 미신고 시 매출 추징·가산세 부가가치세법 제8조
원천징수 구글 애드센스 수익은 외화 지급 시 15.4% 원천징수 미신고 시 이중과세 발생 소득세법 제127조
해외 세금 협정 미국과 조세조약 적용 시 원천세율 경감 미신청 시 불필요한 세금 납부 한·미 조세조약

📍 실제 사례

1️⃣ 2023년 9월, 서울 마포구 – 대학생이 유튜브 채널에서 연 150만 원 수익 발생 → 종합소득세 신고 누락 → 국세청에서 가산세 25만 원 부과

2️⃣ 2024년 5월, 부산 해운대구 – 직장인이 부업으로 유튜브 운영, 연 1,200만 원 수익 → 사업소득으로 분류되어 종합소득세 신고 → 합법 처리, 세금 약 120만 원 납부

3️⃣ 2025년 2월, 인천 연수구 – 전업 유튜버, 연 매출 9,000만 원 초과 → 부가세 신고 의무 발생 → 미신고로 세무조사 착수, 추징세 300만 원 부과


📌 유튜브 수익 신고 방법

  1. 소득 구분 확인
    • 취미 수준, 소액 → ‘기타소득’
    • 반복적·지속적 → ‘사업소득’
  2. 종합소득세 신고 (5월)
    • 전년도 수익 합산 후 홈택스에서 신고
    • 원천징수 세액이 있다면 정산 처리
  3. 부가가치세 신고 (1·7월)
    • 매출 8,000만 원 이상일 경우 필수
    • 간이과세자라면 세금 부담 경감 가능
  4. 해외 세금 협정 확인
    • 구글(미국 소재 기업)에서 지급 → 조세조약 신청 시 원천세율 인하 가능

📞 주의해야 할 점

  • 유튜브 수익은 소액이라도 국세청에서 카드결제·송금 기록으로 확인 가능
  • 애드센스 지급은 외화 수익 → 국외 원천징수와 국내 과세 이중 가능
  • 신고를 누락하면 단순 가산세가 아니라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도 있음

💡 정리하면
유튜브 수익은 단순 용돈이 아니라 과세 대상 소득입니다. 연 100만 원을 초과하면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고, 연 매출 8,000만 원 이상이면 부가가치세 신고까지 추가됩니다. 구글 애드센스 수익은 원천징수가 적용되므로, 이를 정산해 국내 신고를 해야 이중과세를 막을 수 있습니다. 결국 유튜버는 취미든 전업이든 상관없이 세법을 이해하고 성실하게 신고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