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이 투잡하면 불법인가요? (겸업 금지 조항 해설)
최근 직장인들 사이에서 추가 수익을 얻기 위해 투잡(부업)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특히 재택근무 확산과 플랫폼 노동(배달, 온라인 판매, 콘텐츠 제작 등)의 성장으로 ‘퇴근 후 부업’은 더 이상 낯선 개념이 아닙니다. 하지만 모든 직장인이 자유롭게 투잡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는 회사의 취업규칙이나 근로계약, 심지어 법령에 따라 겸업이 제한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직장인이 투잡을 하는 것이 언제 합법이고, 언제 불법이 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투잡 관련 주요 규정 요약
구분 | 규정 내용 | 위반시 제재 | 근거 법령 |
근로기준법 | 법적으로 ‘투잡 자체 금지’ 규정은 없음 | 다만 근로시간·휴식 규정 위반 시 제재 |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
회사 취업규칙 | 다수 기업이 취업규칙에 ‘겸업 금지’ 조항 삽입 | 징계·해고 사유 가능 | 근로기준법 제93조, 대법원 판례 |
공무원 겸업 제한 | 원칙적으로 영리 활동 금지 | 징계·파면 가능 | 국가공무원법 제64조 |
이해충돌 방지 | 본업과 이해충돌 우려 있는 업종 투잡 금지 | 손해배상·형사 책임 가능 | 부정경쟁방지법, 민법 |
플랫폼 노동 | 배달·온라인 판매 등은 합법, 단 세금 신고 필요 | 세금 미신고 시 가산세 | 소득세법, 국세청 고시 |
📍 실제 사례
1️⃣ 2023년 5월, 서울 강남 – 한 IT기업 직원이 퇴근 후 경쟁사 앱 개발에 참여하다가 적발 → ‘겸업 금지 위반’으로 해고, 대법원도 해고 정당 판결
2️⃣ 2024년 1월, 부산 – 대기업 직원이 투잡으로 배달 플랫폼 알바 진행 → 회사 규정상 겸업 금지 조항 없었음 → 합법, 단 소득세 신고 의무 발생
3️⃣ 2025년 2월, 인천 – 공무원이 친척 명의로 온라인 쇼핑몰 운영하다가 감사 적발 → 「국가공무원법」 위반으로 정직 3개월 징계
📌 투잡이 합법이 되는 조건
- 회사 취업규칙에 겸업 금지 조항이 없는 경우
- 투잡 가능, 단 본업 업무에 지장을 주면 징계 가능
- 본업과 업종이 겹치지 않는 경우
- 이해충돌만 없다면 배달, 온라인 판매, 콘텐츠 제작 등은 허용
- 근로시간·휴식 규정을 지키는 경우
- 하루 12시간 이상 근무 금지, 주 52시간 초과 불가
- 세금 신고를 성실히 하는 경우
- 투잡 수입도 사업소득·기타소득으로 신고 필요
📞 투잡 시 주의사항
- 본업 회사의 인사규정 반드시 확인
- 공무원·공기업 직원은 원칙적으로 영리 행위 금지
- 경쟁사 관련 업무는 이해충돌로 불법 소지
- 투잡 소득도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 정리하면
직장인의 투잡은 원칙적으로 법에서 금지하지 않지만, 근로계약과 회사 취업규칙이 가장 큰 제약 요소입니다. 공무원이나 공기업 근무자는 영리 활동이 금지되어 투잡이 불법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일반 직장인이라면 배달, 온라인 판매, 유튜브 활동 등은 합법이지만, 세금 신고를 누락하면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투잡을 계획한다면 본업 회사 규정을 반드시 확인하고, 세금 문제까지 꼼꼼히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 상업 활동 규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 플랫폼(아마존·이베이) 판매 시 국내 세금 규정 (0) | 2025.08.21 |
---|---|
유튜브 수익 발생 시 세금 신고 기준은? (1) | 2025.08.20 |
재택 부업으로 온라인 판매 시작 시 사업자등록 꼭 해야 하나요? (0) | 2025.08.20 |
쿠팡·배민 배달 알바, 4대 보험 신고 의무 있을까? (0) | 2025.08.20 |
“연차 수당, 1년 안 채워도 받을 수 있나요?” (2) | 2025.08.19 |
식품 유통기한 지난 제품 판매, 벌금은 얼마나 될까? (1) | 2025.08.18 |
배달음식 사진과 실제 음식이 다르면 신고 가능한가요? (3) | 2025.08.18 |
주민이 마을규약 만들면, 법적 효력 있나요? (2) | 2025.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