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자율주행 차량과 일반 차량 간 충돌 사고 소식을 뉴스로 접했습니다.
운전자가 없었는데도 피해자가 생겼고, 사고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두고 논란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자율주행차의 상용화가 점점 현실화되면서,
우리 일상 속 교통사고, 보험, 운전자 개념 자체가 새롭게 정의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자율주행차의 시범운행 구역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관련 법과 책임 기준 역시 점차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율주행차의 시범운행 규제 구조,
사고 발생 시 책임소재, 운행 중 이용자 주의사항까지
실제 법적 근거와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 자율주행차, 어디까지 허용되고 있나?
자율주행차는 단순히 핸들을 놓고 운전하는 수준을 넘어서
**‘운전자가 없어도 스스로 주행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 국내에서는 자동차관리법 개정에 따라,
레벨3~4 자율주행차의 시범 운행이 일부 지역에서 합법적으로 허용되고 있으며,
2025년 현재, 서울, 세종, 대전, 판교 등에서 시범 운영 중입니다.
📊 자율주행차 시범운행 제도 요약 (2025년 기준)
구분 | 내용 | 비고 |
운행 허용 레벨 | 자율주행 레벨3 이상 | 레벨4 일부 허용 |
운행 구역 | 서울 강남·세종시 전역·판교 등 지정 구역 | 국토부 고시 지역 |
탑승자 동승 여부 | 일부 차량은 무인 주행, 일부는 보조 운전자 동승 | 구간별 다름 |
보험 적용 | 자율주행차 전용 보험 적용 시범 | 2024년부터 운영 |
사고 시 책임 | 제조사/운전자/AI 시스템 간 분담 규정 신설 | 상황별 다름 |
⚖️ 사고 나면 누구 책임일까?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자율주행 중 발생한 사고의 ‘책임 소재’**입니다.
전통적인 교통사고는 운전자 과실이 기본이지만,
자율주행의 경우에는 운전자 없이도 차량이 스스로 판단해 움직이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면 책임 소재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 책임이 나뉘는 경우
- 차량 시스템 오류
→ 제조사 또는 AI 소프트웨어 공급자에게 책임 가능성 - 도로·신호체계 오류
→ 지자체, 교통 인프라 운영 주체에게 일정 책임 가능 - 탑승자의 비정상 행위
→ 예: 차량 시스템을 꺼버림, 센서를 덮는 행위 등
→ 탑승자 본인의 과실 책임 발생 - 혼합 주행 중 일반 차량이 규정을 위반
→ 일반 차량 운전자가 과실 인정됨
📌 참고로, 국토부는 자율주행차 사고에 대해
상황에 따른 책임 비율을 구분해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향으로 보험 제도를 개편 중입니다.
👁️ 실제 사례로 보는 규제 흐름
- 2024년 서울 시범구역 내 자율주행 택시와 일반차 충돌
→ 자율주행차가 갑자기 멈춘 것에 대한 소프트웨어 오류 확인
→ 제조사 과실 80% / 일반차 20%로 보험 처리 - 세종시 도심 내 무인 셔틀 차량 접촉 사고
→ 어린이 보호구역 내 탑승자 경고를 무시하고 주행
→ 운전자 동승자에게 안전 관리 책임 일부 인정 - 판교 자율주행버스 경미 사고 후 수리비 청구 문제
→ 사고는 자율 시스템 판단 오류
→ AI 판단 기준 모호성으로 논란
🛡️ 탑승자(이용자)가 지켜야 할 기본 수칙
자율주행차를 이용할 때는 단순히 '앉아 있기만 하면 된다'는 인식은 위험합니다.
기술은 발전하고 있지만, 사람의 개입이 여전히 필요한 상황도 많기 때문입니다.
✅ 이용자 주의사항
- 시스템 작동 중 강제로 조작하거나 센서를 막지 말 것
- 긴급 정지 버튼 등 매뉴얼을 사전 숙지할 것
- 운전자가 없더라도, 음주 상태로 탑승하는 것은 위법 가능
- 자율주행 중 위험 발생 시, 신고 체계 또는 관리자 호출 기능 사용 권장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자율주행차 탑승 중 사고가 나면 보험 처리는 되나요?
→ 네. 자율주행차 전용 보험이 있으며, 책임 주체에 따라 보험금 분담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Q2. 자율주행차를 음주 상태로 탑승하면 문제인가요?
→ 경우에 따라 공공질서 위반 또는 사고 발생 시 책임의 일부가 본인에게 돌아갈 수 있습니다.
Q3. 시범운행 차량을 일반 도로에서 만났을 때 주의할 점은?
→ 급정지 또는 정체 구간 진입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차간거리 확보와 양보 운전이 필요합니다.
✅ 마무리 요약
자율주행차는 더 이상 먼 미래의 기술이 아닙니다.
2025년 현재 이미 도심에서 운영 중인 시범 차량이 수백 대에 이르고,
그에 따라 책임, 보험, 탑승자 행동 등 새로운 규제 기준이 빠르게 정비되고 있는 중입니다.
✅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은 전국 확산 중 (서울·세종·대전 등)
✅ 사고 발생 시 책임은 제조사·이용자·시스템 상황별 분담
✅ AI 시스템 오류에 대한 보험 적용 규정은 현재도 정비 중
✅ 탑승자도 일정 책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 앞으로는 ‘운전자’가 아닌 ‘탑승자 규범’이 중요해질 시대
'도로, 교통 관련 규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기준, 개인 전동킥보드 주차 규제의 모든 것 (0) | 2025.09.19 |
---|---|
전기차 충전구역 무단주차 과태료 강화 내용 정리 (2025년 기준) (0) | 2025.09.09 |
모빌리티(전동 휠체어, 스쿠터) 탑승 규정 정리 (2025년 기준) (0) | 2025.09.04 |
소형 전기차 도로 이용 규제, 일반 차량과 뭐가 다를까? (2025년 기준) (2) | 2025.09.01 |
전동킥보드 도로주행 규정 총정리 (2025년 기준) (2) | 2025.08.31 |
주차장 내 사고 시 책임은 누구에게? (2025년 기준) (1) | 2025.08.28 |
아파트 단지 내 차량사고, 법적 책임 (2) | 2025.08.25 |
어린이보호구역 내 생활도로 제한속도 변화 (0) | 202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