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로, 교통 관련 규제

“횡단보도 앞 정차, 몇 미터까지 불법일까? 도로교통법으로 정확히 짚어보기”

by 망고링고- 2025. 8. 5.

🚦 1. [일상 속 궁금증] 횡단보도 앞 정차, 어디까지 괜찮을까?

운전 중 잠깐 정차할 일이 생겼을 때, 가장 눈에 잘 띄는 공간 중 하나가 횡단보도 앞 여유 공간이다. ‘잠깐 서있을 뿐인데’, ‘사람도 안 지나가는데’라는 생각에 무심코 정차하는 운전자들이 많다. 그러나 현실은 이렇다. 횡단보도 앞 불법 정차는 단속 1순위이며, 벌점 + 과태료가 동시에 부과될 수 있는 민감한 위반 항목이다.

많은 사람들이 정확히 **“몇 미터까지 떨어져 있어야 괜찮은가요?”**라는 질문을 한다.
하지만 문제는, 단순히 미터 수만 외워서는 부족하다는 점이다. 정차 시간, 보행자 유무, 긴급 상황 여부 등도 판단 기준에 포함된다. 결국 우리는 횡단보도 앞 정차에 대한 도로교통법과 실제 단속 기준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특히 지자체별로 적용되는 거리 기준과 단속 유예 시간은 차이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횡단보도 앞 정차, 몇 미터까지 불법일까? 도로교통법으로 정확히 짚어보기”

📘 2. [법령 해석] 도로교통법상 ‘횡단보도 정차 금지’ 기준은?

도로교통법 제32조는 ‘정차 및 주차가 금지되는 장소’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 조항에 따라 횡단보도 위 및 그 전·후 일정 거리 내 정차는 원칙적으로 전면 금지되어 있다.

특히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9조에 따르면,
**“횡단보도, 건널목 또는 교차로의 가장자리 또는 도로 모퉁이로부터 10m 이내”**는
주정차 금지 구간으로 명시되어 있다.

✅ 즉, 횡단보도 직전부터 10미터 이내는 정차조차 금지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 잠깐 멈추는 것조차도 단속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보행자가 없어도 “통행 방해 가능성”만으로도 처벌 요건이 충족된다.

이때, 정차와 주차의 차이를 구분하는 것도 중요하다.

  • 정차: 5분 이내 정지, 운전자가 차량 안에 있는 경우
  • 주차: 5분 이상 정지하거나 운전자 없이 차량만 남아 있는 경우
    → 정차든 주차든 횡단보도 앞 10m 이내에서는 모두 금지다.

“횡단보도 앞 정차, 몇 미터까지 불법일까? 도로교통법으로 정확히 짚어보기”

👮 3. [실제 사례] CCTV 단속, 벌점, 과태료 사례 분석

서울 강동구에서는 CCTV로 횡단보도 앞 8m 지점에 3분간 정차한 차량을 불법 정차로 판단해 과태료 40,000원을 부과한 사례가 있다. 해당 차량은 택배를 내리기 위해 잠시 정차했을 뿐이었지만, 도로교통법 위반으로 판단되었다. 택배차나 배달차량, 심지어 어린이 승하차를 위한 차량도 예외 적용이 어려운 구간이 횡단보도 앞이다.

또한 대전시 중구에서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횡단보도 앞 9m 지점에 주차된 차량에 대해 과태료 120,000원 + 벌점 10점을 부과한 사례가 있었다.
이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주정차 금지 강화 법령(일명 민식이법)**에 따라 일반 구역보다 훨씬 강력한 처벌이 적용된 사례다.

🚨 단속 포인트 요약:

  • 횡단보도 전후 10m 이내 정차 = 무조건 불법
  • 사람이 없어도 단속됨
  • 5분 이내 정차도 해당
  • 어린이보호구역은 벌점 + 2~3배 과태료

“횡단보도 앞 정차, 몇 미터까지 불법일까? 도로교통법으로 정확히 짚어보기”

✅ 4. [운전자 체크리스트] 실수 없이 안전하게 정차하는 법

  1. 횡단보도 앞 여유 공간, 눈에 보여도 피하자
    여유로워 보이는 구간이라도 10m 이내면 법적으로 불법이다.
    특히 사람이 지나가지 않더라도, 경찰·CCTV 단속은 그대로 진행된다.
  2.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 활용하기
    대부분의 지자체는 주정차 사전 경고 문자 시스템을 운영한다.
    ‘생활불편신고’ 앱을 통해 신고가 들어오면 문자로 경고가 오고,
    2~3분 내 이동하면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하지만 횡단보도 앞은 이 경고 없이 바로 단속 대상이다.
  3. 안내표지판, 노면 표시 확인
    어떤 횡단보도에는 노란색 실선, 빨간색 테두리,
    "정차금지" 문구 등이 함께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우선 단속 구간임을 뜻하므로, 절대 정차하지 말아야 한다.
  4. 의심될 땐 무조건 10m 이상 떨어지자
    차체 길이를 기준 삼아 ‘2~3대 이상 거리’를 둔다고 생각하면 안전하다.
    특히 골목길이나 학교 앞에서는 법령보다 더 강한 조례 적용이 가능하므로 보수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안전하다.

“횡단보도 앞 정차, 몇 미터까지 불법일까? 도로교통법으로 정확히 짚어보기”